할인에 진심인 사람 모여라! “지갑은 얇아도 할인은 두툼하게 받아요”

반응형
SMALL
제로페이와 온누리상품권은 모두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정부 정책 수단이지만,
각자 장단점이 뚜렷해서 상황에 따라 유용한 방식이 달라요.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어떤 걸 써야 더 이득인지까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온누리상품권 카드형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이미지온누리상품권 모바일

 

 

🧾 제로페이와 온누리상품권, 뭐가 더 유리할까?


✅ 제로페이란?

제로페이는 **소상공인 결제 수수료 0%**를 목표로 정부가 만든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이에요.

  • 소비자는 은행 계좌와 연동해 QR코드로 결제
  • 소상공인은 수수료 부담 없이 판매 가능
  • 제로페이 결제 앱(비플페이, 체크페이 등)에서 지역사랑상품권, 농축산물 할인권, 여행 할인권 등도 연동 가능

🔹 제로페이 장점

  • 10% 할인된 금액으로 지역상품권 구매 가능 (예: 9만 원에 10만 원 충전)
  • 앱만 있으면 결제 끝! 지갑 없이도 편리
  • 실시간 잔액 확인 및 재충전 가능
  • QR코드 찍고 즉시 결제 → 줄 설 필요 없음
  • 최근엔 카페, 식당, 편의점 등에서도 제로페이 사용처 확대 중

🔸 제로페이 단점

  • 스마트폰이 있어야 하고 앱 설치 필요
  • 어르신들은 처음 사용 시 불편할 수 있음
  • 일부 전통시장 점포에서는 아직 사용 불가

✅ 온누리상품권이란?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사용 가능한 지역화폐로, 지류(종이), 모바일, 카드 세 가지 형태가 있어요.

🔹 온누리상품권 장점

  • 지류 상품권은 실물로 간직할 수 있어 선물용에 적합
  • 명절이나 설날, 추석 때 가족·지인 선물용으로 인기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은 제로페이 앱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 가능
  • 유효기간이 길어서 천천히 사용 가능 (지류는 5년, 모바일/카드는 5~10년)

🔸 온누리상품권 단점

  • 종이 상품권은 잃어버리면 재발급 불가
  • 일부 시장에서 거스름돈 안 줄 수 있음
  • 사용처 제한: 대형마트나 프랜차이즈 매장은 사용 불가
  • 1인당 월 구매 한도 있음 (모바일은 보통 70만 원 한도)

제로페이 vs 온누리상품권 비교 정리

항목제로페이온누리상품권

결제방식 모바일 QR 결제 지류/모바일/카드
할인율 보통 10% (간편충전) 5~10% (지류는 보통 5%)
유효기간 없음 (지역사랑상품권도 보통 5년) 지류: 5년 / 모바일: 앱마다 다름
주요 사용처 전통시장, 소상공인 매장, 카페, 편의점 등 전통시장, 일부 중소매장
잔돈/재충전 자동으로 잔액 남음, 앱에서 재충전 지류는 잔돈 안 줄 수도 있음
선물 용도 ✘ (계좌 연동이라 불편)

 


☑ 상황별 추천

🧍‍♀️ 1. 혼자 장보고 스마트폰 결제 잘하는 사람이라면?

제로페이 추천!

  • 줄 안 서도 되고
  • 앱에서 지역사랑상품권, 농할카드 다 쓸 수 있음
  • 결제 내역 확인 및 잔액 관리 가능

👵 2. 부모님, 어르신 장보는 데 도움 주고 싶다면?

온누리상품권 추천!

  • 종이 상품권이라 사용이 쉬움
  • 실물이라 전해드리기 좋고 “전통시장만 쓰세요~”라고 안내 가능

🎁 3. 명절 선물이나 소소한 감사 인사 용도라면?

온누리상품권(지류형) 추천!

  • 받는 사람이 부담 없이 사용 가능
  • 예쁜 봉투에 담아 선물하면 의미 있음

🧡 결론

상황더 유용한 선택

젊은층, 모바일 결제 편한 분 ✅ 제로페이
부모님/어르신, 선물용 ✅ 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 중심으로 장보는 경우 둘 다 병행 가능! (제로페이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활용)

 

🔍 함께 보면 좋은 글

👉전통시장 장보기 꿀팁 모음

👉전통시장  20% 할인 받으세요

👉농할카드 알고계신가요? 할인 받으세요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