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제로페이와 온누리상품권은 모두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정부 정책 수단이지만,
각자 장단점이 뚜렷해서 상황에 따라 유용한 방식이 달라요.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어떤 걸 써야 더 이득인지까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 제로페이와 온누리상품권, 뭐가 더 유리할까?
✅ 제로페이란?
제로페이는 **소상공인 결제 수수료 0%**를 목표로 정부가 만든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이에요.
- 소비자는 은행 계좌와 연동해 QR코드로 결제
- 소상공인은 수수료 부담 없이 판매 가능
- 제로페이 결제 앱(비플페이, 체크페이 등)에서 지역사랑상품권, 농축산물 할인권, 여행 할인권 등도 연동 가능
🔹 제로페이 장점
- 10% 할인된 금액으로 지역상품권 구매 가능 (예: 9만 원에 10만 원 충전)
- 앱만 있으면 결제 끝! 지갑 없이도 편리
- 실시간 잔액 확인 및 재충전 가능
- QR코드 찍고 즉시 결제 → 줄 설 필요 없음
- 최근엔 카페, 식당, 편의점 등에서도 제로페이 사용처 확대 중
🔸 제로페이 단점
- 스마트폰이 있어야 하고 앱 설치 필요
- 어르신들은 처음 사용 시 불편할 수 있음
- 일부 전통시장 점포에서는 아직 사용 불가
✅ 온누리상품권이란?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사용 가능한 지역화폐로, 지류(종이), 모바일, 카드 세 가지 형태가 있어요.
🔹 온누리상품권 장점
- 지류 상품권은 실물로 간직할 수 있어 선물용에 적합
- 명절이나 설날, 추석 때 가족·지인 선물용으로 인기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은 제로페이 앱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 가능
- 유효기간이 길어서 천천히 사용 가능 (지류는 5년, 모바일/카드는 5~10년)
🔸 온누리상품권 단점
- 종이 상품권은 잃어버리면 재발급 불가
- 일부 시장에서 거스름돈 안 줄 수 있음
- 사용처 제한: 대형마트나 프랜차이즈 매장은 사용 불가
- 1인당 월 구매 한도 있음 (모바일은 보통 70만 원 한도)
⚖ 제로페이 vs 온누리상품권 비교 정리
항목제로페이온누리상품권
결제방식 | 모바일 QR 결제 | 지류/모바일/카드 |
할인율 | 보통 10% (간편충전) | 5~10% (지류는 보통 5%) |
유효기간 | 없음 (지역사랑상품권도 보통 5년) | 지류: 5년 / 모바일: 앱마다 다름 |
주요 사용처 | 전통시장, 소상공인 매장, 카페, 편의점 등 | 전통시장, 일부 중소매장 |
잔돈/재충전 | 자동으로 잔액 남음, 앱에서 재충전 | 지류는 잔돈 안 줄 수도 있음 |
선물 용도 | ✘ (계좌 연동이라 불편) | ⭕ |
☑ 상황별 추천
🧍♀️ 1. 혼자 장보고 스마트폰 결제 잘하는 사람이라면?
→ 제로페이 추천!
- 줄 안 서도 되고
- 앱에서 지역사랑상품권, 농할카드 다 쓸 수 있음
- 결제 내역 확인 및 잔액 관리 가능
👵 2. 부모님, 어르신 장보는 데 도움 주고 싶다면?
→ 온누리상품권 추천!
- 종이 상품권이라 사용이 쉬움
- 실물이라 전해드리기 좋고 “전통시장만 쓰세요~”라고 안내 가능
🎁 3. 명절 선물이나 소소한 감사 인사 용도라면?
→ 온누리상품권(지류형) 추천!
- 받는 사람이 부담 없이 사용 가능
- 예쁜 봉투에 담아 선물하면 의미 있음
🧡 결론
상황더 유용한 선택
젊은층, 모바일 결제 편한 분 | ✅ 제로페이 |
부모님/어르신, 선물용 | ✅ 온누리상품권 |
전통시장 중심으로 장보는 경우 | 둘 다 병행 가능! (제로페이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활용) |
🔍 함께 보면 좋은 글
👉전통시장 장보기 꿀팁 모음
👉전통시장 20% 할인 받으세요
👉농할카드 알고계신가요? 할인 받으세요
반응형
LIST
'경제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시장 고수들의 비밀 노하우 - 초보도 알기 쉬운 장보기 비법! (7) | 2025.04.11 |
---|---|
농할카드 알고 계신가요? 여러분 "할인 받으세요" (0) | 2025.04.11 |
전통시장 20% 할인 받으세요 (1) | 2025.04.11 |
4월 1주, 알아두면 도움되는 금융소식 (8) | 2025.04.08 |
국내 여행하면서 할인받는 법? 👉 디지털 관광주민증이 답! (22) | 2025.04.04 |